[울산 치과] 골다공증인데 임플란트, 정말 위험할까요? (안전한 치료를 위한 모든 것)
“골다공증 약을 먹고 있는데, 임플란트나 발치를 하면 턱뼈가 녹는다는 무서운 이야기를 들으셨나요?” “뼈가 약해서 임플란트가 잘 붙지 않을까 봐 걱정되시나요?” 골다공증 환자분들이 임플란트 상담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울산 드림연합치과에서 골다공증과 임플란트의 관계, 그리고 안전한 치료를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솔직하고 상세하게 알려드립니다!
목차 안내
안녕하세요. 울산 드림연합치과입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한 노년을 위해 임플란트 치료를 고려하는 어르신들이 많습니다. 동시에, 많은 분들이 골다공증 진단을 받거나 관련 약을 복용하고 계십니다. 이로 인해 “뼈가 약한데 임플란트가 가능할까?”, “골다공증 약 때문에 치과 치료를 못 받는 건 아닐까?” 하는 불안감을 갖게 됩니다.
오늘은 이 골다공증과 임플란트 치료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명확히 짚어보겠습니다.

<참조 이미지>
1. . 오해 바로잡기: ‘골다공증’ 자체는 임플란트의 절대 금기증이 아닙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골다공증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임플란트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골다공증은 전신 뼈의 밀도가 낮아지는 질환이지만, 우리가 임플란트를 심는 턱뼈(악골)는 팔, 다리, 척추뼈와는 다른 발생학적 기원과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신 골밀도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건강한 사람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참조 이미지>
2. 진짜 문제는 ‘골다공증 약’일 수 있습니다.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에서 정말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부분은 질환 자체가 아니라, 복용하고 있는 ‘골다공증 약’의 성분입니다.
 
골다공증 임플란트에서 주목해야 할 성분 : 비스포스포네이트 (Bisphosphonate)
- 골다공증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이 약물은 뼈를 파괴하는 세포(파골세포)의 활동을 억제하여 뼈가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턱뼈에 미치는 영향
- 이 약물 성분이 턱뼈에 축적되면, 발치나 임플란트 수술 후 상처가 아무는 과정에서 뼈의 정상적인 재형성(remodeling) 과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위험성: 약물 관련 턱뼈 괴사 (MRONJ)
- 매우 드물지만, 이로 인해 턱뼈가 제대로 아물지 않고 노출된 채로 죽어버리는 심각한 부작용인 ‘약물 관련 턱뼈 괴사(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 치료 전에는 반드시 어떤 종류의 골다공증 약을, 얼마나 오래, 어떤 방식(경구 복용, 주사)으로 투여했는지를 치과의사에게 정확하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참조 사진>
3. 안전한 치료를 위한 ‘골다공증 약’ 확인 및 대처법
1단계: 약물 정보 확인
현재 복용 중인 골다공증 약의 처방전을 확인하거나, 처방받은 병원(주로 내과, 정형외과)에 문의하여 약의 정확한 성분명과 투여 기간, 방법(먹는 약 or 주사제)을 확인합니다.
- 특히 주사제의 경우, 먹는 약보다 체내에 더 오래 남아있을 수 있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2.단계: 치과의사와의 상담
- 확인된 약물 정보를 가지고 치과에 내원하여 임플란트 계획에 대해 상담합니다. 치과의사는 약물의 종류와 투여 기간 등을 고려하여 턱뼈 괴사 발생 위험도를 평가합니다.
 
3단계: 내과 주치의와의 협진
- 위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치과의사는 환자의 동의하에 골다공증 약을 처방한 내과 또는 정형외과 주치의에게 소견을 의뢰합니다.
 - 주치의는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와 골절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 수술 전 일정 기간 동안 골다공증 약을 중단(휴약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 주의 : 절대 환자 임의로 약을 끊어서는 안 됩니다! 골절 위험 등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치의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참조 사진>
4. 골다공증 환자의 안전한 임플란트, 치과 선택 시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
골다공증 환자분들이 임플란트 치료를 안전하게 받기 위해서는, 해당 치과가 다음과 같은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철저한 사전 평가 및 의료진 협진 시스템
- 수술 전, 환자의 골다공증 진단 여부, 복용 약물(성분, 기간, 방법)을 꼼꼼하게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담당 내과 주치의와의 긴밀한 협진을 통해 안전한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2. 3D-CT를 이용한 정밀 진단 능력
- 3D-CT로 턱뼈의 밀도와 질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골질이 약한 부위를 피하고 가장 단단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도록 계획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3. 회복을 돕는 최신 술식 적용 가능 여부
- 잇몸 절개를 최소화하는 최소침습(네비게이션) 임플란트나, 환자 본인의 혈액에서 성장인자를 농축하여 뼈 형성과 치유를 돕는 PRF(자가혈 술식) 등을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도 좋습니다.
 
4. 숙련된 의료진의 경험
- 골다공증 환자와 같은 고난도 케이스에 대한 풍부한 임상 경험을 갖춘 치주과 등 전문 분야 의료진이 섬세하고 정교하게 수술을 진행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체계적인 사후 관리 프로그램
- 수술 후 상처 회복과 골유착 과정을 꼼꼼하게 관찰하고, 장기적인 성공을 위한 정기 관리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참조 사진>
5. 골다공증 임플란트, 이것이 궁금해요! (FAQ)
Q1: 골다공증이 있으면 임플란트가 정말 잘 안 붙나요?
A: 골다공증 자체보다는, 흡연이나 당뇨, 불량한 구강 위생 상태가 임플란트 성공률에 더 큰 영향을 미칩니다. 뼈의 밀도가 다소 낮더라도, 숙련된 의료진이 골질에 맞는 임플란트를 선택하고 정교하게 수술하면 충분히 성공적인 골유착을 이룰 수 있습니다.
 
Q2: 골다공증 주사를 맞고 있는데, 언제부터 임플란트가 가능한가요?
A: 주사의 종류(3개월, 6개월, 1년 주기 등)와 성분에 따라 휴약기 및 수술 가능 시기가 크게 달라집니다. 반드시 주사를 처방한 의사와 치과의사의 협진 하에 결정해야 합니다.
Q3: 골다공증 약을 먹은 지 얼마 안 됐는데, 괜찮을까요?
A: 경구(먹는) 약을 복용한 지 4년 미만이고 다른 위험요소가 없다면, 휴약기 없이 발치나 임플란트 수술이 가능한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정확한 진단과 상담이 필요합니다.
Q4: 턱뼈 괴사(MRONJ)는 흔하게 발생하나요?
A: 매우 드물게 발생합니다. 하지만 한번 발생하면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고통스럽기 때문에, ‘만에 하나’의 가능성을 막기 위해 치과의사들이 이토록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입니다.
 
Q5: 임플란트 대신 틀니를 하는 게 더 안전할까요?
A: 틀니는 잇몸을 누르면서 지속적인 상처를 유발할 수 있어, 이 또한 턱뼈 괴사의 위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치료를 하든, 치료 전 약물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입니다.
 
6. 마무리
예전에 치료받은 브릿지가 있다면, ‘한번 씌웠으니 끝’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내 치아보다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정기적인 검진은 브릿지의 수명을 늘리고, 기둥 치아의 건강을 지키며, 더 큰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오래된 브릿지에 문제가 생긴 것 같아 걱정되신다면, 울산 드림연합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상태를 점검받고 상담해 보세요.
본 포스팅은 의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치료법을 권장하거나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치료는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한국 의료법에 위배되지 않도록 최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려 노력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질병의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치과 치료와 관련된 모든 결정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빠른 문의 : 052-260-8275
- 📍 위치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344, 드림연합빌딩
 
관련 유튜브 참조 영상
“참고 문서”
- 제목 : All-ceramic or metal-ceramic tooth-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FDPs)? A systematic review of 5-year survival and complications
 - 저널: Journal of Dentistry (2015)
 - 내용 : 금속-도재(MC)와 전세라믹(FPD)을 비교한 체계적 문헌고찰. 5년 생존율은 전반적으로 높고(대체로 90%대), 재료에 따라 치핑 등 기술적 합병증 양상이 다름을 보고합니다. 임상 선택 시 지대치 상태·교합·스팬 길이에 따라 재료 선택을 달리할 근거를 제공합니다.
 -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09564115000627
 
- 제목 : Up to 10 years clinical performance of zirconia-ceramic versus metal-ceramic fixed partial dentures
 - 저널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22)
 - 내용 : 10년까지의 임상 성적을 종합한 리뷰. 문헌 요약에서 **금속-도재 FPD의 5년 생존율 ≈94.4%, 10년 생존율 ≈89.1%**가 보고되며, 지르코니아 FPD는 수명은 유사하나(중기-장기 양호) 치핑 등 합병증 프로파일이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즉, 적절한 디자인·교합 관리 시 10년 내 생존은 85–90%대 기대가 가능함을 뒷받침합니다.
 - 링크 : https://www.thejpd.org/article/S0022-3913(22)00692-8/fulltext
 
- 제목 : Ten-year outcome of anterior cantilever zirconia ceramic resin-bonded fixed dental prostheses (RBFDPs)
 - 저널 : Journal of Dentistry (2017) (추가로 2025 JPD 장기 추적 논문도 유사 결과 보고)
 - 내용 : 전치부 단일 지대치 캔틸레버 지르코니아 RBFDP의 10년 생존율 98.2%, 성공률 92.0%를 보고. 탈락은 주로 외상과 관련되었고 재부착 후 재문제 거의 없음. 최소 삭제·보존적 대안으로서 전치 단일치 결손에 장기적 예후가 매우 우수함을 제시합니다.
 - 링크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0571217301616
 
“치과 관련 학회 웹사이트” 및 참조 자료
“온라인 학술 데이터베이스”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
 -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
 
드림연합치과 오시는 길 안내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344, 드림연합빌딩
울산 임플란트 치과 상담신청 | 드림연합치과
울산 임플란트, 울산 치과의 모든 것 만나러 가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