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치과] 치아 브릿지 수명, 얼마나 될까? 교체 시기와 신호 (드림연합치과)
“예전에 씌운 브릿지가 왠지 들뜬 느낌이 들고, 냄새가 나는 것 같나요? 브릿지 수명은 얼마나 되고, 언제 교체해야 할지 궁금하신가요?” 한때 치아 상실의 보편적인 해결책이었던 브릿지. 영구적일 것 같지만 브릿지에도 수명이 있습니다. 울산 드림연합치과에서 우리 입속 브릿지의 평균 수명과 교체가 필요하다는 위험 신호, 그리고 교체 시 고려할 점까지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목차 안내
안녕하세요. 울산 드림연합치과입니다. 여러 개의 치아를 상실했을 때, 양옆의 건강한 치아를 기둥 삼아 다리(Bridge)처럼 연결해주는 보철 치료를 ‘브릿지’라고 합니다. 임플-란트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고, 지금도 여전히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브릿지에도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점검하고 교체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치아 브릿지 수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참조 이미지>
1. 치아 브릿지, 평균 수명은 얼마나 될까요?
치아 브릿지의 평균 수명은 교과서적으로 7~10년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적인 수치일 뿐, 환자분의 구강 관리 능력, 식습관, 정기 검진 여부, 그리고 처음 브릿지가 얼마나 정밀하게 제작되었는지에 따라 수명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관리가 잘 되면 15년 이상 문제없이 사용하는 분들도 있고, 관리가 소홀하면 5년도 채 되지 않아 문제가 생기기도 합니다.

<참조 이미지>
2. “교체해주세요!” 브릿지가 보내는 위험 신호 5가지
내 브릿지에 다음과 같은 신호가 나타난다면, 수명이 다했거나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반드시 치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 신호 1 : 브릿지 주변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날 때
- 브릿지와 잇몸 사이 틈으로 음식물이나 치태가 끼어 잇몸 염증이 발생한 신호입니다.
- 신호 2 : 브릿지 주변에서 냄새가 날 때 (구취)
- 브릿지 하방(인공치아와 잇몸 사이 공간)이나 기둥 치아와 브릿지 경계 부위에 음식물이 끼어 부패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 신호 3 : 브릿지 내부의 기둥 치아가 시리거나 아플 때
- 브릿지를 붙인 치과용 시멘트가 녹아 그 틈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내부에서 2차 충치가 생겼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 신호 4 : 브릿지가 끄떡거리거나 들뜬 느낌이 들 때
- 접착제가 수명을 다했거나, 내부의 기둥 치아 하나가 부러지거나 심하게 썩어서 더 이상 브릿지를 지지하지 못하는 위험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 신호 5 : 보철물이 깨지거나 구멍이 났을 때
- 보철물 자체의 파손은 내부로 음식물과 세균이 침투하는 직접적인 경로가 됩니다.

<참조 사진>
3. 브릿지에 문제가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
- 구조적 한계 : 브릿지는 인공치아 부분(가공치)과 잇몸 사이에 미세한 공간이 존재합니다. 이 공간은 음식물이 끼기 매우 쉬우며, 칫솔질만으로는 청소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곳의 위생 관리가 소홀해지면 모든 문제가 시작됩니다.
- 2차 충치 : 브릿지를 지지하는 기둥 치아와 보철물 경계에 틈이 생기거나 관리가 안 되면, 그 틈으로 충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겉에서는 보이지 않고 내부에서 진행되므로 발견이 어렵습니다.
- 기둥 치아의 잇몸 질환 : 기둥 치아 주변의 잇몸 관리가 안 되면, 잇몸병으로 인해 기둥이 흔들리면서 브릿지 전체가 망가질 수 있습니다.
- 과도한 힘 : 이갈이나 이 악물기 습관, 또는 너무 질기고 단단한 음식을 즐기는 경우 기둥 치아나 보철물에 무리가 가서 파손될 수 있습니다.

<참조 사진>
4. 오래된 브릿지 교체, 어떻게 진행될까요?!
오래된 브릿지를 교체하는 과정은 단순히 새로 만드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정밀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1. 정밀 진단
- 먼저 X-ray와 3D-CT(필요시) 촬영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브릿지 내부의 상태, 즉 기둥 치아의 건강 상태(충치, 신경 상태, 뿌리 염증 여부)와 잇몸뼈의 상태를 정확하게 평가합니다.
2. 기존 브릿지 제거
- 남아있는 기둥 치아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기존 브릿지를 절단하여 제거합니다.
3. 기둥 치아 상태 확인 및 치료
- 브릿지를 제거한 후 드러난 기둥 치아의 상태를 직접 확인합니다.
- 2차 충치가 있다면 : 충치를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 신경이 손상되었다면 : 신경치료를 진행합니다.
- 잇몸 질환이 있다면 : 잇몸치료를 통해 건강한 잇몸을 먼저 회복시킵니다.
- 만약 기둥 치아가 너무 많이 썩거나 부러져 살릴 수 없다면 : 안타깝게도 발치를 해야 합니다.
4. 최종 치료 계획 수립 (브릿지 vs 임플란트)
기둥 치아를 건강하게 살릴 수 있다면, 다시 새로운 브릿지를 제작합니다.
만약 기둥 치아 중 하나라도 발치하게 되었다면, 더 이상 브릿지를 할 수 없으므로, 빠진 치아 자리에 임플란트를 심는 치료를 계획하게 됩니다.
5. 새로운 보철물 제작 및 장착
- 최종 치료 계획에 따라 정밀하게 본을 떠서, 환자에게 꼭 맞는 새로운 브릿지나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합니다.

<참조 사진>
5. 치아 브릿지, 이것이 궁금해요! (FAQ)
Q1: 브릿지 수명을 늘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A: 브릿지 하방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것입니다. 칫솔질 후 반드시 치실이나 치간칫솔, 또는 슈퍼플로스를 이용하여 브릿지 아래쪽 공간을 닦아주는 습관이 필수적입니다. 그리고 정기적인 치과 검진과 스케일링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2: 브릿지 한 곳에서 냄새가 나는데, 꼭 바꿔야 하나요?
A: 네, 그럴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냄새가 난다는 것은 브릿지 내부로 음식물이 끼어 부패하고 있거나, 2차 충치가 생겼다는 강력한 신호이므로 반드시 치과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Q3: 브릿지를 교체하면 아픈가요?
A: 기존 브릿지를 제거하거나 내부 충치를 치료할 때 필요하다면 마취를 하므로 통증은 거의 없습니다.
Q4: 브릿지 교체 비용은 건강보험이 되나요?
A: 아니요, 브릿지(보철물) 자체는 비급여 항목이라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만, 브릿지 교체를 위해 필요한 내부 충치 치료나 신경치료, 잇몸치료 등은 건강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Q5: 요즘은 브릿지보다 임플란트가 무조건 더 좋은가요?
A: 임플-란트가 주변 치아를 삭제하지 않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진 훌륭한 치료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 잇몸뼈의 양, 치료 기간, 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브릿지가 더 유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6. 마무리
예전에 치료받은 브릿지가 있다면, ‘한번 씌웠으니 끝’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내 치아보다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정기적인 검진은 브릿지의 수명을 늘리고, 기둥 치아의 건강을 지키며, 더 큰 문제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오래된 브릿지에 문제가 생긴 것 같아 걱정되신다면, 울산 드림연합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상태를 점검받고 상담해 보세요.
본 포스팅은 의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치료법을 권장하거나 진단을 내리는 것이 아닙니다. 실제 치료는 반드시 전문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한국 의료법에 위배되지 않도록 최대한 정확하고 객관적인 정보만을 제공하려 노력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특정 질병의 진단 또는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치과 치료와 관련된 모든 결정은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 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빠른 문의 : 052-260-8275
- 📍 위치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344, 드림연합빌딩
관련 유튜브 참조 영상
“참고 문서”
- 제목 : All-ceramic or metal-ceramic tooth-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FDPs)? A systematic review of 5-year survival and complications
- 저널: Journal of Dentistry (2015)
- 내용 : 금속-도재(MC)와 전세라믹(FPD)을 비교한 체계적 문헌고찰. 5년 생존율은 전반적으로 높고(대체로 90%대), 재료에 따라 치핑 등 기술적 합병증 양상이 다름을 보고합니다. 임상 선택 시 지대치 상태·교합·스팬 길이에 따라 재료 선택을 달리할 근거를 제공합니다.
- 링크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109564115000627
- 제목 : Up to 10 years clinical performance of zirconia-ceramic versus metal-ceramic fixed partial dentures
- 저널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22)
- 내용 : 10년까지의 임상 성적을 종합한 리뷰. 문헌 요약에서 **금속-도재 FPD의 5년 생존율 ≈94.4%, 10년 생존율 ≈89.1%**가 보고되며, 지르코니아 FPD는 수명은 유사하나(중기-장기 양호) 치핑 등 합병증 프로파일이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즉, 적절한 디자인·교합 관리 시 10년 내 생존은 85–90%대 기대가 가능함을 뒷받침합니다.
- 링크 : https://www.thejpd.org/article/S0022-3913(22)00692-8/fulltext
- 제목 : Ten-year outcome of anterior cantilever zirconia ceramic resin-bonded fixed dental prostheses (RBFDPs)
- 저널 : Journal of Dentistry (2017) (추가로 2025 JPD 장기 추적 논문도 유사 결과 보고)
- 내용 : 전치부 단일 지대치 캔틸레버 지르코니아 RBFDP의 10년 생존율 98.2%, 성공률 92.0%를 보고. 탈락은 주로 외상과 관련되었고 재부착 후 재문제 거의 없음. 최소 삭제·보존적 대안으로서 전치 단일치 결손에 장기적 예후가 매우 우수함을 제시합니다.
- 링크 :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0571217301616
“치과 관련 학회 웹사이트” 및 참조 자료
“온라인 학술 데이터베이스”
- PubMed: https://pubmed.ncbi.nlm.nih.gov/
-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
드림연합치과 오시는 길 안내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344, 드림연합빌딩
울산 임플란트 치과 상담신청 | 드림연합치과
울산 임플란트, 울산 치과의 모든 것 만나러 가기! 👇










